HISTORY

도올김용옥 중국사 몰아보기

중국 역사와 현대사 정리


1. 중국의 고대 문명과 역사적 흐름

1.1 고대 문명의 시작

  • 중국의 고대 문명은 하(夏), 은(殷), 주(周) 삼대 왕조에서 출발.
  • 공자는 하나라는 실체가 불확실하다고 했으나, 최근 리토 유적 등이 하나라와 연관될 가능성이 제기됨.
  • 은나라(BC 1600~BC 1046): 사마천의 *사기(史記)*에서 기록됨.
    • 갑골문 발견(20세기): 은나라 문자가 새겨진 거북이 껍데기와 동물 뼈가 발견됨 → 최대 고고학적 발견
  • 주나라(BC 1046~BC 256): 봉건제를 시행하여 제후국(노나라, 제나라 등) 형성.

1.2 춘추전국시대(BC 770~BC 221)

  • 주나라가 약해지면서 여러 제후국이 독립적으로 행동.
  • 춘추 시대: 공자(BC 551~BC 479)가 활동한 시기, 윤리가 중요.
  • 전국 시대: 각국이 패권 다툼, 혼란 극심.
  • 진시황(秦始皇, BC 259~BC 210): 전국을 통일하고 중국 최초의 중앙집권 국가 형성.

1.3 진(秦)·한(漢) 제국의 성립

  • 진나라(BC 221~BC 206):
    • 진시황이 만리장성 건설, 도량형 통일, 문자 통일.
    • 가혹한 통치로 인해 단명.
  • 한나라(BC 206~220):
    • 한고조(유방)가 진나라를 멸망시키고 한 제국 성립.
    • 한무제(BC 141~BC 87): 영토 확장(고조선 멸망), 유교 국가 이념 확립.
    • 이후 분열과 내전으로 후한(25~220)까지 지속.

1.4 위진남북조 시대(220~589)

  • 삼국 시대(220~280): 조조(위), 손권(오), 유비(촉)의 삼국 분립.
  • 위나라가 진나라(서진, 265~316)로 통합하지만 곧 다시 분열.
  • 남북조 시대(439~589): 북방 유목 민족(북위 등)과 남쪽 한족(송, 제, 양, 진)의 대립.

1.5 수·당 제국(589~907)

  • 수나라(581~618):
    • 수문제와 수양제가 중국을 통일했으나 고구려 원정 실패로 쇠퇴.
  • 당나라(618~907):
    • 문화적으로 가장 번성한 제국. 당태종(626~649)이 영토 확장.
    • 당나라와 고구려: 당태종이 고구려 원정을 감행했으나 연개소문에게 패배.
    • 이후 황제 권력 약화 → 멸망.

2. 송·원·명·청 시대의 변화

2.1 송나라(960~1279)

  • 북방 이민족(요·금)과 대립하며 약체화.
  • 남송(1127~1279): 금나라(여진족)에게 북송 멸망 후 남쪽에서 존속.

2.2 원나라(1271~1368)

  • **몽골제국(칭기즈칸~쿠빌라이칸)**이 중국을 지배.
  • 한족 차별 정책으로 인해 반란이 일어나 멸망.

2.3 명나라(1368~1644)

  • 주원장이 몽골 세력을 몰아내고 명(明) 왕조 수립.
  • 조선과의 관계 형성 (조선 건국 후 사대교린).
  • 말기 부패로 인해 만주족(청나라)의 침략을 받음.

2.4 청나라(1644~1912)

  • 여진족(후금 → 청나라)가 한족 지배.
  • 강희제·옹정제·건륭제 시기 전성기.
  • 19세기 들어 아편전쟁(1840~1842)으로 서구 열강에 개방, 쇠퇴.
  • 1911년 신해혁명으로 붕괴.

3. 중국 근대사: 공화정 수립과 국공내전

3.1 신해혁명(1911)과 중화민국

  • **손문(쑨원)**이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 수립(1912).
  • 하지만 군벌 간의 내전으로 혼란.

3.2 장제스(장개석)와 국민당

  • 손문 사망 후 장제스가 국민당 지도자로 부상.
  • 공산당과 협력하다가 1927년 결렬 → 본격적인 국공 내전 시작.

3.3 모택동(마오쩌둥)과 공산당

  • 1921년 상하이에서 공산당 창당.
  • 모택동이 농민 혁명을 통해 세력 확장.
  • 장정(1934~1935): 국민당의 공격을 피해 1만 km 도주하며 공산당의 지도력을 공고히 함.
  • 국공 내전(1945~1949): 공산당이 국민당을 격파.

4.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과 현대 중국

4.1 공산당 정권 수립(1949)

  • 1949년 10월 1일 모택동이 천안문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선포.
  • 장제스는 대만으로 피신하여 양안 분단 발생.

4.2 모택동 시대(1949~1976)

  • 대약진운동(1958~1961): 농업·공업을 급격히 발전시키려 했으나 실패, 대기근 발생.
  • 문화대혁명(1966~1976): 정적 숙청, 홍위병 동원, 사회 혼란.
  • 1976년 모택동 사망 후 덩샤오핑이 실권 장악.

4.3 덩샤오핑과 개혁·개방(1980년대~1990년대)

  • 경제 개방 정책(시장경제 도입)으로 중국 경제 급성장.
  • 천안문 사태(1989): 민주화 요구 탄압.

4.4 시진핑 시대(2012~현재)

  • 2012년 집권 이후 권력을 강화하고, 공산당의 국가 통제 강화.
  • “중국몽(中国梦)”을 내세워 강대국 부상 목표.
  • 미·중 무역전쟁, 경제 성장 둔화 등의 과제 존재.

5. 중국의 정치 시스템

  • 중국 공산당이 국가 위에 존재: “당(黨)이 국가를 지배”.
  • 군대(인민해방군)도 국가 소속이 아니라 공산당 소속.
  • 시진핑 이후 1인 독재 체제 강화.

6. 결론 및 시사점

  • 중국 역사는 통합과 분열을 반복.
  • 공산당 체제는 여전히 강력하나 경제·정치적 과제가 많음.
  • 한국과 중국은 역사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, 향후 관계 설정이 중요.
  • 중국이 어떻게 발전하느냐에 따라 한국과 세계에 미치는 영향도 큼.

핵심 키워드: 중국의 통합과 분열, 공산당과 국민당, 모택동과 덩샤오핑, 현대 중국의 정치·경제, 한국과의 관계.

Leave a Comment